풍덩

[경제] 채권투자 처음공부 - 프포리라이프(석동민)

채시기 2024. 3. 23. 00:30

채권투자 처음공부
채권투자 처음공부

 

 

 

 

책소개

작가: 프포리라이프(석동민)     출판사: 이레미디어    발행일: 2023.05.05

 

채권 아예 모르는 사람도 바로 써먹게
꼭 필요한 내용만 쏙쏙!
개인투자자가 쓴 개인투자자를 위한 채권 입문서!

채권에 대한 책이나 유튜브 영상은 많지만 타깃이 개인투자자가 아니거나 중급자 이상인 경우가 많다. 이 책은 그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채권투자 처음공부》는 막 채권에 입문했거나 입문하고 싶어 하는 개인투자자를 위해 쓰였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가 쓴 개인투자자를 위한 입문서라는 점에서도 특별하다.

저자는 반도체 설비 엔지니어로 일하던 시절 우연히 채권 지식을 접하고는 개인투자자도 채권투자로 돈을 벌 수 있는지를 고민했고, 그 결과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한 달 생활비를 채권 이자로 자동 창출한다’는 본인만의 철학에 따라 행동하다 보니 이제는 생활비보다 훨씬 많은 수익을 거머쥐게 되었다. 이 책에는 그런 저자의 노하우가 담겨 있다.

수많은 경제 변수에 따라 큰 위험이 동반하는 투자 수단들과 달리 채권투자는 배우기만 하면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효율적인 수익률을 거머쥘 수 있다. 불확실성이 강한 지금과 같은 투자 환경에서 보다 안전하게 투자하고자 하는 사람들 또는 은행의 예ㆍ적금에서 이제는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 무엇보다 채권투자를 활용하고 싶지만 투자 방법을 알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채린이라면 이 책이 그 누구보다 반가울 것이다.

 

*교보문구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느낀점

 예금, 적금 말고도 돈을 불릴 수 있는 방법을 찾다보니 채권이라는 투자 수단을 알게 되었다. 채권을 알아보고자 정말 기초부터 알려주는 책을 찾고 있었다. 그러나 주식관련 책에 비해 채권에 관한 책들의 수가 생각보다 적어서 놀랐다.  그래도 다행히 누가 봐도 채권의 기초부터 알려줄 것 같은 제목의 책을 발견했다. 이 책은 제목과 같이 채권이 무엇인지, 채권투자는 어떻게 하는지 알려줘서 매우 유익했다. 하지만 이보다 더 깊은 내용을 원한다면 다른 책을 찾길 추천한다.

 

 요즘에는 재테크하면 흔히 주식, 부동산 등을 많이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주식과 부동산은 원금을 잃을 수 있는 위험성이 너무 크고, 또 그렇다고 예금과 적금에 올인하기엔 기대할 수 있는 수익률이 너무나 적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것이 바로 '채권'이다.  나는 현재 주식과 적금에 열심히 돈을 쏟아붓는 중이다. 하지만 올바른 분산투자를 진행하려면 다양한 분야에 고르게 투자하는 것이 맞다. 주식과 채권은 대부분 반비례하는 성격을 가져서 의의로 주식과 채권 모두 고르게 투자하는 사람들의 많다고 한다.

 

나는 이때까지 채권의 종류가 국채, 회사채 밖에 없는 줄로만 알고 있었다. 채권의 종류는 크게 국채, 지방채, 특수채, 회사채 4가지로 나뉜다. 아마 나와 같이 지방채와 특수채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지방채: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을 개발하거나 철도와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특수채: 공기업에서 투자자금이나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이 책에서 채권에 대해 또 새롭게 알게 된 것이 있다. 바로 이자 지급방식이다. 

 

이표채: 가장 익숙한 방식으로 정해진 주기마다 이자를 지급받는 방식을 말한다

 

복리채: 이표채와 동일하게 이자지급 주기를 가지고 있지만, 이로 인해 발생한 이자가 투자자에게 지급되지 않고 자동으로 재투자된다.

 

할인채: 채권 발행 시 만기일까지 지급예정된 이자율만큼 채권 가격자체가 할인되어 발행된다. 그래서 이자가 직접 지급되지 않는 채권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가님이 매우 강조하는 부분이 있다. 채권을 살 때는 반드시 만기일까지 보유할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도 이 부분에 엄청 공감한다.(그래야 원금손실을 최대한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무리

 

'만기일까지 반드시 보유하는 마음가짐'